강성호. 2017. “한국고등학교 세계사교육과 서구중심주의.”

<서양사론 133호(2017.6) 심사제출본>

한국 고등학교 세계사교육과 서구중심주의1)
강성호(순천대 사학과)
I.

머리말

II. 한국 서구중심주의 세계사 연구 현황
III. 한국 고등학교 세계사교육과 서구중심주의
IV. 일본의 세계사교육과정과 서구중심주의
V. 맺음말: 한국 고등학교 세계사교육 활성화를 위하여
<국문초록>
이 논문은 서구중심주의와 관련해서 고등학교 세계사교육과정을 고찰한다. 서구중심주의 문제
는 고등학교 세계사 내용체계 구성의 중요한 부분이고, 한국현실에 맞는 세계사 교유과정을 구
성할 때 반드시 고민해야 될 부분의 하나이다. 한국서양사학계에서 2000년대 이후 서구중심주의
에 대한 비판적 검토가 개인연구자, 연구소, 학회차원에서 활발하게 진행되어왔다. 이러한 영향
을 받아 2007~2011년 고등학교 세계사교육과정은 서구중심주의적 세계사구성을 개선하는 데
큰 진전을 보였다. 그러나 2015년 고등학교 세계사교육과정은 서구중심주의 세계사교육과정을
다시 강화하면서 지역간 교류를 삭제하고 세계사 교육분량을 대폭 줄였다는 점에서 서양사학계
와 시대의 흐름을 역행하였다. 이러한 검토에 근거하여 이 논문은 한국 고등학교 세계사 교육
활성화방안을 몇 가지 제안하였다. 한국서양사학계가 세계사교육에 대한 연구를 심화하고, 세계
사교사들과의 교류를 확대하고, 교사대상 세계사교육직무연수를 활성화하고, 세계사교육 교재를
개발하고, 2015년 세계사교육과정 개편에 적극 참여하고, 그리고 교육부나 외교통상부 등에 영
향력을 미쳐 세계사교육 여건을 개선해야 한다.

I. 머리말
지구화 속도가 갈수록 빨라지면서, 미국과 일본 등에서 지구화시대에 걸 맞는 세계사에 대한 교육
이 초중등학교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1) 이웃 일본에서는 고교과정에서 세계가 세계화의 추
세에 맞추어 1989년에 필수과목으로 설정되었고, 1994년부터 실시되었다. 지구화시대에 대외의존도
가 큰 한국에서 세계사교육은 중요한 위치를 지닐 필요가 있다. 그러나 2003년 7차 교육과정이후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목이 필수에서 선택으로 전환된 후, 세계사를 선택해서 듣는 학생들 수와 대학
수능에서 세계사 응시하는 학생 비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따라서 고등학교에서 세계사 교
육 강화방안을 한국서양사학계가 적극적으로 고민해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2015년 세계사 교육과정이 개정된 후 세계사 교육과정의 내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2)

1) 이 논문은 2014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4S1A3A2043763)
1) 구난희, 「세계사 교육과정의 현황과 개선방안」, 역사교육, 93(2005): 125의 도표를 보면 일본과 구미 여러 나라들
의 세계사교육 현황을 일목요연하게 잘 볼 수 있다.
2)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고등학교 세계사교육과정 개정의 내용」, 2015 개정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연구 II 역사과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2015년 세계사교육과정은 학습내용을 축소하고, 그 과정에서 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 등 일부 지역이
빠지고, 지역 간의 교류 확산 과정도 빠지게 되었다. 고등학교 세계사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현실
적인 처방, 세계가 빠진 세계사 교과서, 서구중심주의로 다시 회귀한 교과서라는 비판 등 다양한 의
견들이 나오고 있다.3)
여기에서는 서구중심주의와 관련해서 고등학교 세계사교육과정을 살펴보려고 한다. 서구중심주의
문제는 고등학교 세계사 내용체계 구성의 중요한 부분이고, 한국현실에 맞는 세계사 교유과정을 구
성할 때 반드시 고민해야 될 부분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한국 서양사학계의 서구중심주의
관련 연구동향, 한국의 세계사 교육과정 개편현황과 쟁점, 일본 세계사 교육과정의 특성 등을 살펴
보고, 현 시기 한국 고등학교 세계사 교육 활성화방안을 같이 고민해보려고 한다.

II. 한국 서구중심주의 세계사 연구 현황
한국 서양사학계는 해방 이후 1957년 이후에 유럽과 미국의 근대성이 지니고 있는 어두운 측면에
대해 진지한 문제제기를 하지 못했다.4) 오히려 1970년대까지는 유럽의 근대문명을 앞서서 수입하고
전파하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하였다. 한국서양사학계가 유럽의 근대성의 다른 이면을 보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민주화시대를 거치면서 유럽의 사회주의사상과 노동운동을 연구하면서 부터이다. 유
럽의 근대가 유럽의 근대 내부에서 낳았던 모순 구조를 뒤늦게 인식하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나 유럽
의 근대 내부의 모순구조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유럽 근대가 유럽외부에 가한 파괴적이고 부정적인
역할에 대한 인식으로 바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유럽을 세계전체의 한 부분으로 한국 서양사학계가 객관적으로 인식하기 시작한 것은 I. 월러스틴을
연구하고 소개하면서부터이다. 나종일의 세계체제론 연구나 한국서양사학회 주최로 열린 세계체제론
학술대회가 대표적인 것으로 들 수 있다.5) 그러나 세계체제론 연구가 바로 서구중심주의 세계사에 대
한 전면적인 검토로 나아가지 못했다. 한국 서양학자들이 주체적 입장에서 서구중심주의 세계사를 검
토하기 시작한 것은 2000년대 들어서이다.6) 초기의 대표적인 연구로 이민호의 「세계사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유럽중심주의 사관의 극복을 위하여」(2002), 이상현의 「한국서양사학(1945~1990)의 반성」
(2002), 그리고 강철구의 역사와 이데올로기: 서양역사학의 유럽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2004)
를 들 수 있다. 강철구는 계속해서 우리의 눈으로 본 세계사I(2009)를7) 출간하면서 서구중심주의 세
계사에 대한 비판 작업을 적극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성과들에 기초해서 서구중심주의 세계사 문제를 집단적으로, 비판적으로 검토하게 되는 전
환점은 2006년 4월에 한국서양사학회가 주최했던 한국서양사학회 전국학술대회 우리에게 서양이란
3) 김칠성, 「고등학교 세계사(서양사 부분포함)의 문제들」, 제58회 전국역사학대회: 역사학과 역사교육의 소통(서울대
학교, 2015. 10.30~10.31); 김덕수, 「[토론 5] 고등학교 세계사 교육과정 시안에 대한 토론-교육과정을 통해본 고등
학교 세계사 교육의 문제」, 2015 역사과 교육과정 시안 공개토론회 자료집(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15-37, 2015); 양정현, 「2015 역사과 교육과정의 논리와 구성」, 역사비평 113 (2015); 김육훈, 「2015역사과
교육과정 논의에 부쳐」, 역사과 교육12, (2015); 최상훈,「세계사교육의 쟁점과 당면과제」,『역사교육』138
(2016); 신유아,「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 내용구성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역사교육논집』54 (2015); 윤세병,
「‘학습부담 경감’으로 포장된 역사교육의 퇴행-세계사와 동아시아사 내용 구성의 문제점,『역사비평』113 (2015).
4) 강성호, 「유럽중심주의 세계사에 대한 비판과 반비판을 넘어」, 역사학연구 39 (2010. 6) 참조.
5) 나종일, 세계사를 보는 방법과 시각 (창비, 1992); I. 월러스틴, 근대세계체제 I, 김대륜, 김명환, 나종일, 박상익역
(까치글방, 1999); 한국서양사학회편, 근대 세계체제론의 역사적 이해 (까치글방, 1996).
6) 강성호, 「유럽중심주의 세계사를 넘어 세계사들로를 말한다」, 유럽중심주의 세계사를 넘어 세계사들로 (푸른역사,
2009).
7) 강철구, 강철구의 우리의 눈으로 본 세계사 1 (용의숲, 2009).

– 2 –

무엇인가: 유럽중심주의 서양사를 넘어였다. 이 대회의 성과는 2009년에 유럽중심주의 세계사를
넘어 세계사들(푸른역사)8)로 출판되었다. 이 책은 한국서양사학회가 공식적으로 서구중심주의 세계
사문제를 검토하기 시작하는 계기였다는 점에서는 큰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참여하는 필자들 사이
의 관점이 서로 통일되지 못했고, 서구중심주의와 관련된 주요 쟁점들을 제대로 모두 다루지 못했다
는 점에서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후 서구중심주의 역사를 한국이나 동아시아 입장에서 새롭게 접근하려는 집단적인 시도들이 학
술대회 개최나 관련 연구소나 기관의 창립 등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2007년 7월에 한국
서양사학회 창립 50주년을 기념하여 동아시아에의 서양사 연구, 근대성의 인식과 유럽중심주의의
극복이라는 주제로 한․중․일 삼국 공동의 국제학술대회가 한국에서 개최되어, 동아시아의 시각에서
서구중심주의 문제를 중심으로 검토한 바 있다.9) 또한 2009년 5월에는 일본 오사카대학에서 세계사
학회 아시아지회 창립대회가 열리기도 하였다.10) 그리고 이화여대에 지구사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이화여대 지구사 연구소’가 창립되어 세계사관련 학술대회들이 개최되고 있다.
그리고 서구중심세계사를 비판하는 다양한 세계사들이 활발하게 소개되고 연구되기 시작했다. 세계
사속에서 그동안 상대적으로 무시되었던 아시아, 이슬람문명, 라틴아메리카, 아프리카 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A. G. 프랑크, 조반니 아리기, 마셜 호지슨, W. D. 미뇰로 등의 저작이 소개되었다.11) 또한
세계각지역간의 교류를 강조하는 맥닐의 세계사 등이 소개되었다.12) 그리고 지구전체나 우주 속의
지구를 크게 보려는 글로벌 히스토리, 빅히스토리 관련 책들도 소개되었다.13) 그리고 그동안 개별적
으로 집단적으로 서구중심주의를 세계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거나 소개하는 강철구, 임지현, 조지형
등의 저작들이 출판되었다.14)

III. 한국 고등학교 세계사교육과 서구중심주의
III-1. 한국고등학교 세계사교육현황
지구화 속도가 갈수록 빨라지면서 지구화를 반영한 새로운 세계사연구와 교육이 구미지역에서 활
발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에서도 이러한 세계적 추세에 발맞추어서 세계사 교육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중고등학교 세계사 교육현장에서 세계사 교육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0

8) 한국서양사학회 편, 유럽중심주의 세계사를 넘어 세계사들 (푸른역사, 2009).
9) 한국서양사학회 창립50주년 기념국제학술회의, 동아시아에서의 서양사연구, 근대성의 인식과 유럽중심주의의 극복,
(서울대학교, 2007. 7. 5 – 6).
10) World History Studies and World History Education, 29-31 May 2009, Osaka University Nakannoshima
Center, The Proceedings of the First Congress of the Asian Association of World Historians, edited. by the
Organizing Committee of the First Congress of the Asian Association of World Historians, Osaka University,
Japan, 2009.
11) A. G. 프랑크, 리오리엔트 (이산, 2003); 조반니 아리기, 장기 20세기 (그린비, 2008) ; 마셜 호지슨, 마셜 호
지슨의 세계사론: 유럽, 이슬람, 세계사 다시보기 (사계절, 2006); W. D. 미뇰로, 라틴아메리카, 만들어진 대륙
(그린비 출판사, 2010).
12) 윌리엄 맥닐, 전쟁의 세계사 (이산, 2005); 윌리엄 맥닐, 전염병의 세계사 (이산, 2005); 윌리엄 맥닐, 세계의
역사, 1, 2 (이산, 2007); 윌리엄 맥닐, 휴먼 웹: 세계화의 세계사 (이산, 2007).
13) 데이비드 크리스처, 세계사의 새로운 대안 거대사, 서해문집, 2009; 파멜라 카일 크로슬리, 글로벌 히스토리란
무엇인가 (휴머니스트, 2010); 신시아 브라운, 빅히스토리 (프레시안북, 2009).
14) 강철구, 강철구의 우리의 눈으로 본 세계사 1 (용의숲, 2009); 임지현, 새로운 세대를 위한 세계사편지 (휴머니
스트, 2011); 조지형편, 지구화시대의 새로운 세계사 (혜안, 2008).

– 3 –

년대 이후 축소되었다. 먼저 고등학교 세계사교육의 시수와 세계사교육을 선택하는 학생 수가 세계사
가 필수에서 배제된 2003년 이후 급속도로 축소되었다. 1996~2001년 제6차 교육과정에서 세계사는
고등학교 2~3학년 과정에서 필수로 지정되어 주당 3시간씩 102시간을 이수하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2002~2010년 제7차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2~3학년 과정에서 한국 근·현대사(136시간)와 더불어 세
계사(136시간)과목이 선택과목이 되면서 교육현장에서 세계사 선택율이 줄어들었다. 이러한 경향은
2007 교육과정과 2009 교육과정 개편 시에도 그대로 이어졌다. 2007 교육과정에서는 한국문화사
(102시간), 동아시아사(102시간), 세계역사의 이해(102시간) 중에서 선택하는 것으로, 2009 교육과정
에서는 한국사(85시간), 동아시아사(85시간), 세계사(85시간) 중에서 선택하는 것으로 개편되었다.
2009 교육과정에서 한국사가 필수에서 해제되었으나 한국사 채택율이 높아 동아시아사나 세계사 교
육이 중등교육현장에서 제대로 진행되기 어려웠다. 2016년 사회탐구 영역 응시자 과목별 현황을 보
면 세계사는 사탐 10과목 중 9위에 해당되고 전체 사탐 응시자 322,283명 중에서 28,004명, 약
6.9%만 응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표1> 고등학교 역사 수업시수 변천과정15)

구분
(적용개시년)
교수요목기(1946)
제1차 교육과정(1964)
제2차 교육과정(1965)
제3차 교육과정(1977)
제4차 교육과정(1984)
제5차 교육과정(1990)
제6차 교육과정(1996)
제7차 교육과정(1999)

고등학교
2

1
인류문화사(2)

3

우리문화사(2)

국사(필수 3)
세계사(선택 3)
국사(필수 6)
세계사(필수 6)
국사(필수 6)
세계사(선택 4-6)
국사(필수 4-6)
세계사(필수 2, 인문계선택 추가)
국사(공통필수 6)
세계사(선택 4)
국사(공통필수 6)
세계사(선택 6단위-과정별 필수)
국사(공통필수 6)
심화선택 과목 중 세계사(8)와 한국근현대사(8)

2007개정교육과정

<선택>한국문화사 102시간, 동아시아사102시간, 세계역사의 이해 102시간

2009 개정 교육과정

<선택> 한국사 85시간, 동아시아사 85시간, 세계사 85시간

고등학교 역사수업시수 변천과정 ※ ( )는 주당 시수, 시간은 총 수업시간

중학교 세계사교육은 고등학교에 비해 지속적으로 한국사와 더불어 필수로 교육되어왔다. 제1차
교육과정에서 제7차 교육과정 사이에서 제2차 교육과정에서만 세계사가 한국사와 더불어 통합된 형
태로 구성되어 있었다.16) 그러나 2009년 교육개정에 따라 2011년부터 중학교 역사에서 한국사와
세계사 영역이 50여년 만에 다시 통합되었다.17) 2015년에 개정된 역사도 2009년 교육개정처럼
15) 이 표는 구난희, 「세계사 교육과정의 현황과 개선방안」, 112와 다음 사이트를 참조하여 작성한 것임.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1/04/21/0200000000AKR20110421222700004.HTML?did=1195r 2013
년 11월 20일 검색
16) 구난희, 「세계사 교육과정의 현황과 개선방안」, 113.
17) 차미희, 「‘중학교 역사과목 구성방안: 한국사 세계사 연계방안 중심으로’에 대한 토론문」, 2011년도 역사교육연구회

– 4 –

한국사와 세계사를 통합한 교육과정을 제시했다.18) 여기서 한국사와 세계사의 기계적 결합방식문제,
유럽이외의 다른 지역의 상대적 고려 부족 등에 대한 비판적 의견들이 나오고 있다.
III-2. 고등학교 세계사 교육과정 내용체계와 서구중심주의
1955년 초ㆍ중고교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국가 기준이 마련된 이래 2003년
까지 7차례에 걸친 전면개정이 진행되었다. 그리고 2007년도부터 2~4년마다 부분적인 수시 개정체제
로 전환되었고, 고등학교 세계사도 2007~2009년, 2011년, 2015년 세 차례 개정되었다. 고등학교 세
계사교육과정은 2003년 7차 교육과정까지 큰 변화 없이 진행되었다. 2007~2009 교육과정은 서구중
심주의적 교육과정을 대폭 개정하였고, 2011년 교육과정도 2007~2009 교육과정을 부분적으로만 수
정하였을 뿐이다. 다시 2015년 교육과정은 2007~2009년 교육과정을 교육현장에서 실패했다고 비판
하면서 다시 전면적으로 ‘재구조’하였다.
1955년부터 2003년 제7차 세계사 교육과정까지는 서구중심주의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었다. 이
시기 교육과정은 서구중심적인 고대-중세-근대 3시기 구분법에 따라 세계사의 흐름을 구성하였다.
서구의 고대와 중세는 서구의 근대화를 낳는 내적 토대로 작용했고, 근대화된 서구가 세계를 주도했
고, 비 서구세계는 이 서구모델의 근대화를 따라야 했다. 또한 현대시기 이전 세계사 내용 체계항목
64개 중에서 유럽이 20개를 차지하고, 유럽과 관련된 부분까지 포함하면 25개에 이른다. 세계 전체
지역의 6분의 1도 안 되는 유럽에 대한 서술이 31%에서 39% 정도인 것을 제 7차 세계사 교육과정
이 서구중심주의 세계사서술에 치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2> 2003년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세계사내용 체계

춘계학술대회-역사교육과정의 개정방향 모색, 55.
18)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2015 개정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연구 II 역사과 교육과정, 36-42.

– 5 –

아시아
동아시아

고대

유럽 및 다른 지역
서.남.동남아시아

○ 선사문화
○ 중국문명

○ 인더스문명
○ 메소포타미아문명

○ 고대중국의 국가체제

○ 고대 인도의 사회

○ 제자백가
○ 유교문화

○ 불교의 사회
○ 사산조 페르시아

○ 로마제국
○ 노예경제

현대

○ 마야문명과 아메리카의
고대세계

○ 서양고대문화

○ 유럽세계의 형성
○ 봉건제도
○ 장원경제

○ 귀족사회와 사대부사회
○ 서민 문화

○ 이슬람 교의 성립
○ 이슬람 문화

○ 일본의 막부

○ 인도와 동남아시아의 문화

○ 북아프리카의 이슬람화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 로마교회

○ 동서문화 교류

근대

○ 아프리카의 고대세계

○ 크리스트교의 성립

○ 굽타왕조

○ 중국의 경제제도

○ 인류의 기원
○ 이집트 문명

○ 헬레니즘

○ 북방민족과 정복왕조

○ 정통사회의 성숙

다른 지역

○ 그리스민주정

○ 동아시아 문화권의 성립

중세

유럽

사회

○ 중세문화
○ 비잔틴제국

○ 아스텍.잉카문명
○ 북아메리카의 인디언 문화

○ 상업과 도시의 발달

○ 서아시아 전통사회의
변화와 문화

○ 근대의식의 각성
○ 절대주의와 상업혁명

○ 청의 중국지배
○ 서양 세력의 침입

○ 인도와 동남아시아 사회의
변화와 문화

○ 유럽 세력의 확대
○ 자본주의와 산업혁명

○ 근대화운동

○ 서양 세력의 침입

○ 시민혁명과 시민사회

○ 일본 사회의 변천
○ 민족운동

○ 근대화 운동
○ 민족운동

○ 자유주의와 민족주의
○ 사회주의





제국주의
러시아혁명
제3세계
WTO 체제
현대 문화





반제국주의 민족운동
파시즘
사회주의권의 붕괴
첨단 과학기술의 발달
현대 세계의 제 문제




○ 아메리카 문명의 파괴
○ 미국의 독립과 발전
○ 라틴아메리카의 독립
○ 아프리카의 민족운동

세계대전
냉전체제
자본주의의 고도화
대중사회

2007~2009년, 2011년 부분개정 작업은 그 이전까지의 서구중심주의적 세계사구성을 전면적으로
수정하였다. 이 개정은 고대-중세-근대라는 서구중심주의적 3시대 구분법을 폐기하고, 세계를 통합
하는 힘으로 대규모이주, 문화교류, 교역 등의 역할을 중시하였다. 또한 지역문화, 지역경제, 지역세
계를 중시하여 세계사의 주요지역인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서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아메리카 등
을 다양하게 균형 있게 다루려고 노력했다. 2007~2009 개정은 서구중심주의 세계사를 탈피하려 했
다는 점에서는 높은 평가를 받는다. 이 교과서도 1600년 이후 세계사의 흐름을 서구국가들의 근대
화와 제국주의 세계정복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는 서구중심주의를 완전히 탈피하지 못하
는 한계를 지닌다.

– 6 –

<표 3> 2009년 고등학교 세계사 내용 체계
영 역
I. 역사와 인간

II. 문명의 성립과 통일
제국

III. 지역세계의 재편과
성장

IV. 지역세계의 통합과
세계적 교역량

V. 서양국민국가의
형성과 산업화

VI. 제국주의의 침략과
민족운동

VII. 1, 2차 세계대전
세계의 변화

학년(군)별 내용(요소)

2015년
교과과정과 차이

○ 인류 역사의 흐름

변형

○ 현대 세계인류가 당면한 문제와 해법

변형

○ 문명의 형성, 도시국가 출현

유지

○ 고대 동아시아 세계

변형

○ 고대 인도와 동남아시아 세계

축소·삭제

○ 고대 서아시아 세계

변형

○ 고대 지중해 세계

변형

○ 유교, 불교, 조로아스터교, 크리스트교 등 종교의 출현과 전파과정

축소·삭제

○ 인구이동, 전쟁, 주요 종교의 확산

축소·삭제

○ 유럽 세계의 형성과 발전

변형

○ 동아시아 세계의 형성과 재편

변형

○ 인도와 동남아시아 세계의 발전

축소·삭제

○ 이슬람 세계의 형성과 발전

변형

○ 비유라시아 세계의 발전

축소·삭제

○ 교류의 활성화

축소·삭제

○ 동아시아 독자적 문화의 발달과 경제성장

변형

○ 무굴제국과 동남아시아의 발전

축소·삭제

○ 서아시아의 전통사회의 발전

변형

○ 유럽의 새로운 변화 (르네상스, 신항로 개척, 유럽세계의 팽창)

변형

○ 세계적 교역망의 형성과 통일

축소·삭제

○ 근대의식의 발전 (과학혁명과 계몽사상)

축소·삭제

○ 시민혁명

유지

○ 국민국가 형성

유지

○ 산업혁명, 자본주의 발달과 산업화의 문제점

변형

○ 제국주의, 아시아·아프리카 식민화

축소·삭제

○ 동아시아 각국의 민족주의 운동

변형

○ 인도 동남아시아 및 서아시아의 민족운동

축소·삭제

○ 라틴아메리카와 아프리카의 민족주의 운동

축소·삭제

○ 1, 2차 세계대전

변형

○ 2차 세계대전 이후 냉전, 사회주의 붕괴 후 국제정세

변형

○ 도시화, 민주주의 확산, 대중사회와 대중문화

변형

○ 현대과학기술 발달과 세계화의 진전

변형

2011년도 교육과정은 2007~2009 교육과정의 기본 구조를 건드리지 않은 채 부분 개정되었다. 2009
년에 비해 문화의 교류와 확산과 관련해서 ‘유교, 불교, 조로아스터교, 크리스트교 등 종교의 출현과 전
파과정’ 항목이 폐지되었다. 개념과 관련하여 ‘지역세계’라는 개념이 ‘지역문명권’이라는 개념으로 바뀌
고, 대단원을 7개에서 5개로 축소하고 대단원 사이의 논리적 연관관계가 좀 더 명확하게 조정되었다.
<표 4> 2011년 개정 고등학교 세계사 내용체계

– 7 –

대단원(편)

소단원(장)
1. 자연과 인간

I. 역사와 인간

2. 세계사의 시간과 공간
3. 세계사학습의 중요성
1. 유라시아 최초의 문명들
2. 동아시아 문명권

II. 지역 문명권의 형성과 발전

3. 인도 문명권
4. 서아시아 문명권
5. 지중해 문명권
1.동아시아 제국과 유목세계의 팽창
2. 이슬람 문명권의 형성과 확대

III. 지역문명권의 재편과 팽창

3. 유럽 기독교 문명권의 형성과 전개
4. 비유라시아 세계의 역사 발전
5. 지역 문명권 교류와 교역
1. 아시아 제 지역의 번영과 성숙
2. 유럽의 확대와 대서양 세계

IV. 지역 문명권의 통합과 변화

3. 서양 근대 산업사회와 국민국가의 형성
4. 세계적 교역망의 형성
5. 제국주의 침략과 민족운동
1. 20세기 전쟁과 평화
2. 대중사회의 출현

V. 현대의 세계

3.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변화
4. 과학기술의 발달과 현대문명
5. 세계화시대의 인류의 과제

2015년 세계사 교육과정은 2009년 개정과 2011년 재개정 세계사 교육과정이 실패했다는 비판적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2번의 개정은 글로벌 히스토리의 관점에서 “유럽과 근대중심주의”를 극복하려
했다. “이는 고대, 중세, 근대라는 시대구분법을 철폐하고 ‘지역세계’라는 역사공간을 단위로 하여
여러 지역 세계가 하나의 지구촌 사회로 통합되어가는 과정으로 세계사를 기술하는 방식이었다.”19)
그러나 이러한 두 차례에 걸친 개정은 한국의 세계사 교육여건에 맞지 않고, 학생들이 세계사를
기피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실패했다고 2015년 개정은 본다. “글로벌 히스토리의 관점으로 구성된
세계사 교과서를 통한 수업은 가르치는 교사와 배우는 학생모두에게 어렵고 불만족스러웠다는 것이
일반적인 여론”이었고, “세계사 과목에서 다루는 내용의 범주와 깊이가 고등학생의 수준에 적절한
것인지에 대한 의문도 존재”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20) 이러한 문제인식에서 2015년 개정은 “학생
들의 학습 부담을 줄이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학교현장에서 쉽게 가르치고 배울 수 있는 교과
서 개발에 적합한 성취기준을 개발”하기 위해, “지역단위의 서술확대, 학습내용의 감축, 현재 문제와
의 관련성 강화”에 주안점을 두었다.21)
2015년 개정은 “지역이라는 공간을 단위로 해서 인류의 역사를 재구성”하려했다. “세계화가 본격
화되기 이전 시대는 지역을 단위로 하여 세계사의 흐름을 주도했던 동아시아 지역, 서아시아. 인도
지역, 유럽‧아메리카 지역의 역사를 차례로 다룬 다음, 세계사의 무대가 전 지구로 확대되는 시점부

19)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고등학교 세계사교육과정 개정의 내용」, 2015 개정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연구 II 역사과
교육과정, 83.
20)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고등학교 세계사교육과정 개정의 내용」, 83.
21)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고등학교 세계사교육과정 개정의 내용」, 83~84.

– 8 –

터는 통합적으로 서술하는 성취기준을 마련했다.”22) 2015 교육과정은 기존 교과서의 내용을 20%정
도 축소한다는 방향에 맞추어 세계사 학습 분량을 감축하였다. “학생들이 주어진 수업시간동안 적어
도 세계사의 큰 흐름만이라도 파악할 수 있도록 아프리카와 오세아니아와 같은 이른바 ‘비주류’ 지
역의 역사는 과감히 생략하고 ‘주요’ 지역들의 역사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23)
2015년 개정 고등학교 세계사 교육과정은 교과서 분량을 대폭 축소시키는 과정에서, 다루는 지역을
동아시아, 서아시아-인도, 유럽-아메리카로 나누고, 세 지역의 역사를 단순 병렬식으로 구성하여 지역
간 문물의 교류와 확산을 거의 다루고 있지 않다. <표 3 2009년 고등학교 세계사 내용>을 보면 2009년
개정 세계사교과서에 들어있는 지역 간 교류 부분이 거의 대부분 축소되거나 폐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2015년 교육과정은 서구중심주의적 성격이 다시 강화되었다. 첫째, 교육 내용체계에서 동남아시아
와 아프리카 부분이 사라지고, 유럽관련 부분은 계몽사상과 과학사상 부분을 제외하고 그대로 유지
되어, 유럽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더 커진다. 둘째, 제국주의 시대 이전 지역별 서술이 병
렬적으로 진행됨으로써 유럽이 내부적 요인에만 근거해서 근대시기에 세계의 중심으로 나아갔다는
서구중심주의 신화가 다시 강화될 수 있다.
1990년대 후반 이후 세계는 현실적으로도 서구의 힘이 상대적으로 약화되고 있고, 세계학계의 흐
름도 탈서구중심주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한국의 세계사교육과정도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반영
할 필요가 있다. 고등학교 세계사교육을 활성화시키면서 동시에 탈서구중심주의 세계사교육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현실적 방안을 마련하는 데 학계가 힘을 모아나갈 필요가 있다.
<표 5> 2015년 고등학교 세계사 내용 체계
대주제

인류의 출현과 문명의
발생

동아시아지역의
역사

소주제

학년(군)별 내용(용소)

세계사학습의 필요성

○ 세계사의 의미
○ 세계사 학습의 필요성

인류의 출현과 선사문화

○ 인류의 출현과 진화
○ 구석기 시대의 생활
○ 신석기 시대의 생활

문명의 발생

○ 문명의 요소
○ 4대 문명

동아시아 세계의 형성

○ 춘추 전국시대와 진.한제국
○ 수·당 제국과 동아시아 문화권
○ 일본 고대국가의 성립과 발전

동아시아 세계의 발전

○ 송과 북방 민족의 발전
○ 몽골의 팽창
○ 막부 정권의 성립

동아시아 세계의 변동

서 아 시 아 ·인 도 지 역 의
역사

서아시아의 여러 제국과 이슬람 세계의
형성
인도의 역사와 다양한 종교·문화의 출현

22)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고등학교 세계사교육과정 개정의 내용」, 84.
23)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고등학교 세계사교육과정 개정의 내용」, 84.

– 9 –




명·청 제국의 변화
에도 시대의 발전
페르시아 제국의 성립과 발전
이슬람 세계의 형성과 확장

○ 마우리아 왕조와 쿠샨 왕조
○ 굽타 왕조
○ 무굴 제국

유럽·아메리카 지역
의 역사

제국주의와 두 차례의
세계대전

고대 지중해 세계

○ 에게 문명과 그리스 세계
○ 로마 제국의 성립과 발전

유럽세계의 형성과 동요




유럽세계의 변화

○ 신항로의 개척
○ 절대왕정

시민혁명과 산업혁명

○ 시민혁명
○ 산업혁명

제국주의와 민족운동

○ 제국주의의 침략
○ 아시아·아프리카의 민족운동

두 차례의 세계대전

○ 제1차 세계대전
○ 제2차 세계대전

냉전과 탈냉전

○ 냉전체제의 성립
○ 탈냉전과 세계질서의 재편

21세기의 세계

○ 현대 세계의 변화
○ 인류에게 남겨진 과제

현대세계의 변화

중세 유럽 봉건사회의 성립
비잔티움 제국
르네상스
종교개혁

IV. 일본 세계사교육과정과 서구중심주의
일본의 세계사 교과서는 몇 차례 개정을 거치면서 서구중심주의를 벗어난 일본식 세계사교과서로
자리 잡았다.24) 일본에서 고등학교 세계사과목은 1949년 4월 동양사와 서양사가 통합되어 새로 만
들어졌다. 1960년에 세계사과목은 기본적인 내용을 다루는 ‘세계사 A’와 발전적인 내용을 다루는
‘세계사 B’로 바뀌었고, 1970년에 ‘세계사 A’와 ‘세계사 B’가 다시 세계사 한 과목으로 통합되었고,
1989년 이후 근현대사를 중심으로 하는 ‘세계사A’와 전체통사를 다루는 ‘세계사 B’로 나누어졌다.
개정과정에서 연구자와 교사와의 협동작업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그 주요활동무대가 ‘역사학연구
회’와 ‘역사교육자협의회’였다.25)
세계사 교과서의 목차를 규정하는 ‘내용항목’도 크게 변하였다. 4회 개정(1960)까지는 마르크스주
의 역사학 영향을 받은 발전단계론적 항목배치가 이루어졌고, 제5회 개정(1970)부터는 ‘각 문화권’의
형성과 발전이 키워드로 등장하고, 제8회(1998)부터는 ‘지역세계’나 ‘지구세계’ 같은 세계화와 연동
된 개념들이 기본골격으로 자리 잡고 있다.26) 이러한 변화과정에서 초기에 세계사교육을 주도했던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의 영향력이 축소되었다. 우에하라는 마르크스의 ‘역사법칙’을 비판하면서 세계
사를 “지역적 문명권의 상호교류‧복합적 관계 속에서 전개된다고 지적하는 이른바 ‘문화권론”을 주
장하였다.27) 우에하라는 ‘문명권’ 개념에서 더 나아가 ‘지역세계’라는 개념을 창안하여, 1970년 초까
지 13개의 세계를 설정했다. 우에하라가 제기한 ‘문화권’ 개념은 1970년에 공인되었고, ‘지역세계’라
는 개념도 1998년 8차 개정에서 차용되었다.
초기의 일본 세계사교육은 “일본이 서구진영에 가담하여 봉건제를 극복했으며 구미에 버금가는
24) 하종문, 「전후 일본의 역사학과 세계사 연구. 교육」, 역사교육 110; 권오현, 「일본 세계사의 지역구분과 세계사인
식」, 중등교육연구 56 (2008); 권오현, 「일본 고등학교 세계사 학습지도요령의 개정과 특색-1999년판 ‘세계사 A’
를 중심으로」, 역사교육논집 25 (1999); 김한종, 「일본 역사교육의 동향」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연구, (선인,
2006); 나타니 시다오, 일본 세계사교육의 동아시아사」, 동북아역사논총 19 (2008).
25) 하종문, 「전후 일본의 역사학과 세계사 연구. 교육」, 40.
26) 하종문, 「전후 일본의 역사학과 세계사 연구. 교육」, 37~38.
27) 하종문, 「전후 일본의 역사학과 세계사 연구. 교육」, 42.

– 10 –

근대화를 이룩하는 것이 유일한 과제”라는 서구중심주의 역사인식을 심어주었다.28) 우에하라 세계사
는 ‘아시아로부터의 세계사지향’과 ‘세계사와 일본사의 통일적 파악’을 주장하면서, ‘일본국민. 민족
이 주체로 부각되는 세계사상의 형성을 지향했다.“29) 우에하라 세계사는 2008년 8차 학습지도요령
에 따라 개정된 2009년 세계사에 큰 영향을 주었다.
2009년 일본 세계사교과서는 크게 세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첫째, “전근대의 세계를 몇 개의
지역세계‘로 나누고 지역세계를 잇는 네트워크의 존재와 전개에 초점을” 맞추고, 둘째, “절대주의’라
는 개념대신 ‘주권국가체제’라는 용어”를 채택하면서 ‘대항해시대’가 “아시아의 변영과 아시아 내에
서의 교역권의 발전에 의해 가능했다”고 이해하고, 셋째, “제 2차 세계대전 이후를 현대로 상정하는
것이 아니라 ‘총력전’과 ‘지구일체화’라는 관점에서 20세기를 묶어서 서술하였다.30)
<표 6> 2009년 일본고등학교 세계사 B의 내용 체계
대단원(편)

1편 제 지역 세계의 형성
(18~111)

2편 제 지역세계의 교류와 재편
(114~184)

3편 제 지역 세계의 결합과 변용
(186~353)

4편. 지구세계의 형성
(356~430)

소단원(장)
서장. 문명의 기원(18~23)
1장. 고대 오리엔트 세계(24~36)
2장. 고대 지중해 세계(37~70)
3장. 인도의 고대문명(79~93)
4장. 중국의 고전문명(79~93)
5장. 동아시아 문화권의 형성: 3국 시대~남북조~수당사 (94~108)
6장. 아메리카와 오세아니아의 고대문명 (109~111)
7장.
8장.
9장.
10장.
11장.

이슬람 세계의 형성과 확대(114~127)
유럽 세계의 형성 (128~144)
유럽 세계의 변동 (145~162)
동아시아, 내륙아시아의 변동(163~179)
제 지역 세계의 교류 (180~184)

12장. 아시아 제국의 번영(186~353)
13장. 근대 유럽의 탄생 (207~220)
14장. 주권국가체제의 형성 (222~250)
15장. 구미 근대사회의 성립 (253~278)
16장. 근대 국민국가의 형성 (280~291)
17장. 근대 국민국가의 발전 (293~35)
18장 아시아 제국의 동요 (318~332)
19장. 제국주의와 세계의 변용 (334~353)
20장. 제 1차 세계대전과 그 후의 세계 (356~375)
21장. 파시즘과 제2차 세계대전 (377~392)
22장. 미소 냉전과 제3세계 (394~406)

일본 고등학교 세계사교과서 발전과정은 한국의 세계사교과서 쟁점과 관련해서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첫째, 세계사교과서 변화과정에 전문역사가들과 현장 교사들의 협동작업이 중요한 역할
을 했다는 점이다. 세계사연구자들과 현장교사들 사이의 학문적 교류가 활발하지 못한 한국역사학계
가 앞으로 이점을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28) 하종문, 「전후 일본의 역사학과 세계사 연구. 교육」, 44.
29) 하종문, 「전후 일본의 역사학과 세계사 연구. 교육」, 55.
30) 하종문, 「전후 일본의 역사학과 세계사 연구. 교육」, 53.

– 11 –

둘째, 세계사교과서 내용체계 구성은 학계의 탈서구중심주의 연구결과를 반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우에하라의 ‘문화권’이나 ‘지역세계’ 개념은 기존의 맑스주의 보편적인 경제발전단계론을 대체하기
위해 제기된 것이다. 또한 ‘절대주의’와 ‘시민혁명’ 개념대신 ‘주권국가’, ‘국민국가’ 개념을 사용한
것은 서구가 중심이 되어 진행된 자본주의적 근대화와 제국주의적 세계분할을 비판하려는 목적에서
나온 것이다. 따라서 한국의 세계사연구자들도 어떠한 관점을 가지고 세계사교과서 내용체계를 구성
해야 될 지에 대한 이론적 고민들을 학계차원에서 공유해나갈 필요가 있다.
세 번째, 일본의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에는 유럽, 아시아, 오세아니아, 아프리카 등 세계 주요
각 지역과 각 지역사이의 교류를 다루고 있다. 교류를 중시할 것이냐 말 것이냐 특정지역에 집중할
것이냐 말 것이냐 하는 문제 자체가 일본 세계사교과서에서 쟁점 사항이었던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
다. 서구중심 보편적 세계사로 볼 것인가 아니면 다양한 지역세계의 발전과정으로 세계사를 볼 것인
가라는 대립점 속에서 지역세계 사이의 교류가 강조되었던 것이다. 한국고등학교 현장상황을 고려하
여 세계사 교육학습량을 정할 필요가 있지만,

수 없지만, 고등학교 현장상황에만 맞추어 세계사 내

용체계를 재구성하는 것은 다시 생각해볼 문제이다.

V. 맺음말: 한국의 고등학교 세계사교육 활성화를 위하여

한국의 고등학교 세계사 교육상황은 2003년 이후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다. 한국 고등학교 세계
사교육 상황의 악화에는 서양사학계의 책임도 적지 않다. 그동안 한국서양사학계는 세계사교육의 현
실과 세계사교육과정 내용체계에 대해 관심을 보이지 못했다. 한국서양사학계가 한국고등학교 세계
사 교육 활성화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나갈 필요가 있다.
첫째, 한국서양사학계는 세계사 교육에 대한 연구를 심화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한국서양사학계
가 주기적으로 세계사교육관련 학술대회, 좌담회, 학회지 기획특집 등을 마련하여 세계사교육에 관
심을 지속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동시에 국제역사학회, 세계사학회, 아시아세계사학회 등 국제적인
세계사학회들과의 교류도 강화하여 최신 동향을 적극적으로 수용해나갈 필요가 있다. 또한 한국동양
사학회와 세계사교육을 강화할 수 있는 협력방안을 모색해나가야 한다.
둘째, 한국서양사학계는 교육현장에 있는 세계사 교사들과 지속적으로 교류할 수 있는 구체적 방
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세계사에 관심 있는 교사들과 공동연구모임을 갖거나 아니면 서양사학회,
동양사학회, 역사교육관련 학회나 연구소, 세계사 교사 모임 등이 참여하여 주기적으로 모임을 갖는
‘한국세계사교육회의(가칭)’등을 만드는 것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셋째, 한국서양사학회와 한국동양사학회가 초중등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세계사교육직무연수를 활
성화할 필요가 있다. 최근 20 여년 동안 세계적으로 새로운 세계사 연구 성과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한국서양사학회와 한국동양사학회가 중심이 되어 세계사관련 최신 연구 성과들을 반영한 다양한 세
계사 직무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하면 교육현장 세계사교육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한국서양사학
회는 이를 위해 2006년 10월에 서울지역 교사들을 대상으로 세계사교육직무 연수를 시작할 예정이
다. 이를 계기로 세계사교육직무연수가 전국적으로 확산되도록 노력해나갈 필요가 있다.
넷째, 현재까지의 연구 성과를 반영할 수 있는 세계사 교육과정이나 보조교재를 한국서양사학회와
한국동양사학회가 현장교사들과 힘을 모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그동안 주로 개별 연구자들과 교사
들이 방대한 세계사교육과정이나 교재들을 쓰거나 감수하다 보니 제대로 된 교재를 만들기 쉽지 않
았다. 세계사학계 내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는 절차를 거친 세계사 교육교재의 개발을 시급하게 진

– 12 –

행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2015년 세계사 교육과정 개정 후에 2017년이나 2019년에 새로운 교육과정 개정이 마
련될 것이다. 차기 교육과정 개정 시에는 학회가 적극 참여할 필요가 있다. 지금부터 세계사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다양한 의견들을 모아가면, 다음 교육과정 개정은 좀 더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차기 개정 시에 학회는 학회내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
여 교육과정 개편 때 반영될 수 있는 준비를 지금부터 해 나갈 필요가 있다.
여섯째, 세계사교육이 확대될 수 있는 분위기를 확산하여 세계사교육 여건을 실질적으로 개선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세계사교육과정은 과목성격상 학습내용이 많을 수밖에 없고,
다른 교과목에 비해 내용의 난이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에 대해
학회와 교육현장이 같이 고민할 필요가 있다. 세계사 교과목의 필수로의 복귀, 세계사교육과정 채택
시 해당학교에 대한 가산점이나 재정지원 강화, 세계사교육 교사나 학생들에 대한 인센티브나 다양
한 프로그램 제공 방안 등을 다양하게 고려해볼 수 있다. 이를 위해 학회나 학계는 정치권, 언론,
교육부, 외교통상부 등이 세계사 연구와 교육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나갈 필요
가 있다.
(순천대학교 사학과)
(투고일: 2017.05.15. 심사개시일: 2017. 5.19

게재결정일: 2017. .

)

참고문헌
강성호, 「유럽중심주의 세계사를 넘어 세계사들로를 말한다」, 유럽중심주의 세계사를 넘어 세계사들로, (푸른역사,
2009).
강성호, 「유럽중심주의 세계사에 대한 비판과 반비판을 넘어」, 역사학연구 39 (2010. 6).
강철구, 강철구의 우리의 눈으로 본 세계사 1, (용의숲, 2009).
권오현, 「일본 세계사의 지역구분과 세계사인식」, 중등교육연구 56 (2008).
권오현, 「일본 고등학교 세계사 학습지도요령의 개정과 특색-1999년판 ‘세계사 A’를 중심으로」, 역사교육논집 25
(1999).
김한종, 「일본 역사교육의 동향」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연구, (선인, 2006).
나종일, 세계사를 보는 방법과 시각 (창비, 1992).
나타니 시다오, 일본 세계사교육의 동아시아사」, 동북아역사논총 19 (2008).
구난희, 「세계사 교육과정의 현황과 개선방안」, 역사교육 93 (2005).
김덕수, 「[토론 5] 고등학교 세계사 교육과정 시안에 대한 토론-교육과정을 통해본 고등학교 세계사 교육의 문제」, 
2015 역사과 교육과정 시안 공개토론회 자료집(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15-37, 2015).
김육훈, 「2015역사과 교육과정 논의에 부쳐」, 역사과 교육 12 (2015).
김칠성, 「고등학교 세계사(서양사 부분포함)의 문제들」, 제58회 전국역사학대회: 역사학과 역사교육의 소통(서울대학교,
2015. 10.30~10.31)
신유아,「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 내용구성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역사교육논집』54 (2015).
양정현, 「2015 역사과 교육과정의 논리와 구성」, 역사비평 113 (2015).
윤세병,「‘학습부담 경감’으로 포장된 역사교육의 퇴행-세계사와 동아시아사 내용 구성의 문제점,『역사비평』 최상훈,
「세계사교육의 쟁점과 당면과제」,『역사교육』138 (2016).
임지현, 새로운 세대를 위한 세계사편지 (휴머니스트, 2011).
조지형편, 지구화시대의 새로운 세계사 (혜안, 2008).
차미희, 「‘중학교 역사과목 구성방안: 한국사 세계사 연계방안 중심으로’에 대한 토론문」, 2011년도 역사교육연구회 춘
계학술대회-역사교육과정의 개정방향 모색.
최상훈,「세계사교육의 쟁점과 당면과제,『역사교육』138 (2016).
하종문, 「전후 일본의 역사학과 세계사 연구. 교육」, 역사교육 110.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고등학교 세계사교육과정 개정의 내용」, 2015 개정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연구 II 역사과 교육
과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한국서양사학회편, 근대 세계체제론의 역사적 이해 (까치글방, 1996).
한국서양사학회 창립50주년 기념국제학술회의, 동아시아에서의 서양사연구, 근대성의 인식과 유럽중심주의의 극복 (서

– 13 –

울대학교, 2007. 7. 5 – 6.)
한국서양사학회편, 유럽중심주의 세계사를 넘어 세계사들, (푸른역사, 2009).
A. G. 프랑크, 리오리엔트 (이산, 2003).
C. 브라운, 빅히스토리 (프레시안북, 2009).
I. 월러스틴, 근대세계체제 I. 김대륜, 김명환, 나종일, 박상익역 (까치글방, 1999).
D. 크리스천, 세계사의 새로운 대안 거대사 (서해문집, 2009).
M. 호지슨, 마셜 호지슨의 세계사론: 유럽, 이슬람, 세계사 다시보기 (사계절, 2006).
J. 아리기, 장기 20세기 (그린비, 2008).
P. 카일 크로슬리, 글로벌 히스토리란 무엇인가 (휴머니스트, 2010).
W. 맥닐, 전쟁의 세계사 (이산, 2005).
W. 맥닐, 전염병의 세계사 (이산, 2005)
W. 맥닐, 세계의 역사, 1, 2 (이산, 2007).
W. 맥닐, 휴먼 웹: 세계화의 세계사 (이산, 2007).
W. D. 미뇰로, 라틴아메리카, 만들어진 대륙 (그린비 출판사, 2010).


Euro-centrism and Education of World History in Highschool of Korea
Kang, Sung-Ho

This paper examines Euro-centrism and the world history curriculum of Korean high
school. The problem of Euro-centrism is one of the part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we
try to construct the world history curriculum in the perspective of Korea. Critical review
of Euro-centrism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Korean academia of Western history since
2000. Influenced by these trends, the 2007 ~ 2011 world history curriculum of Korean high
school has made great strides in escaping from the Euro-centric world history.
However, the world history curriculum of Korean high school of 2015 education reversed
the trend of Korean academia of western history in that it strengthened the perspective of
Euro-centric world history and eliminated description related to inter-regional exchanges
and drastically reduced the amount of world history text. Based on this review, this paper
suggests some ways to revitalize western history education in Korean high schools. Korean
academia of Western history need to deepen research on world history education, expand
exchanges with world history teachers, activate teacher training for world history,
develop teaching materials for world history, actively participate in rearrangement of
world history curriculum of 2015, and mak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support the world history educatio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kangsh@scnu.ac.kr)

주제어 (Key Words)
1. 서구중심주의(Euro-centrism)
2. 세계사교육(Education of World History)
3. 고등학교(Highschool)
4. 교육과정(Curriculum)
5. 한국서양사학회(The Korean Society for Western History)

– 14 –